거북이 수조 & 테라리움 셋업 가이드 (필수 장비 & 환경 설정)
거북이는 수생 거북과 육지 거북으로 나뉘며, 각각의 서식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반려동물로 키울 때는 적절한 수조 또는 테라리움을 조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잘못된 환경에서 키우면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거북이는 수명이 길기 때문에 장기적인 사육 환경을 고려해야 한다.
이번 글에서는 수생 거북과 육지 거북의 차이점,
필수 장비, 테라리움 & 수조 셋업 방법을 상세히 알아보겠다.
1. 수생 거북과 육지 거북의 차이점: 어떤 환경이 필요할까?
거북이를 키우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이 키우려는 거북이가
수생 거북인지, 육지 거북인지 구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 두 유형은 서식 환경이 완전히 다르며, 이에 맞는 사육장을 준비해야 한다.
수생 거북(반수생 거북 포함)
- 대표적인 종: 붉은귀거북, 노란배거북, 머스크 터틀, 스냅핑 터틀
- 생활 방식: 수중 활동이 많으며, 물속과 육지를 오가며 생활
- 필수 환경: 수조(물과 육지 공간 포함), 강력한 여과기, basking spot(일광욕 장소), UVB 조명
육지 거북
- 대표적인 종: 러시안 육지거북, 설가타 거북, 히구레 거북
- 생활 방식: 완전한 육상 생활, 높은 습도가 필요할 수도 있음
- 필수 환경: 테라리움, 바닥재, 은신처, UVB 조명, 적정 습도 조절
수생 거북은 물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수조 내에 깨끗한 물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육지 거북은 습도와 온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자연 서식지를 재현해야 한다.
2. 수생 거북을 위한 수조 셋업 가이드
수생 거북은 대부분 활발한 성격을 가지고 있어
넓고 깊은 수조가 필요하며, 깨끗한 물을 유지하기 위한 여과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수질이 나빠지면 호흡기 질환, 껍질 감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조 크기 & 공간 설정
- 성체 기준 최소 90cm × 45cm × 45cm 이상
- 거북이 1마리당 최소 75~100L의 물이 필요
- 수조 바닥에는 자갈 대신 모래나 큰 바위 사용(소화 문제 방지)
필수 장비 & 구성 요소
- 강력한 여과기(외부 여과기 추천)
- 거북이는 배설량이 많기 때문에, 어항용 여과기보다 강한 여과력이 필요하다.
- 외부 여과기 또는 삼중 필터(물리+화학+생물학적 여과) 시스템 사용 추천
- UVB 조명 & 일광욕 공간
- 거북이는 칼슘을 흡수하기 위해 UVB 조명이 필수적이다.
- 하루 10~12시간 조명을 켜서 비타민 D3 합성을 도와야 한다.
- 물 밖에서 쉴 수 있는 유목, basking platform(일광욕 장소) 필수 배치
- 수온 유지 장치(히터 & 온도계)
- 적정 수온: 24℃ 유지(어린 개체는 28℃, 성체는 24~26℃)
- 겨울철에는 수온이 20℃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히터 사용
- 먹이 접시 & 급식 공간
- 사료를 수조 내에서 주면 물이 쉽게 오염되므로,
별도의 급식 공간에서 먹이를 주는 것이 좋다.
- 사료를 수조 내에서 주면 물이 쉽게 오염되므로,
3. 육지 거북을 위한 테라리움 셋업 가이드
육지 거북은 물이 아닌 건조한 환경에서 생활하는 종이므로,
사육장 내부를 자연 환경과 최대한 비슷하게 조성해야 한다.
특히, 거북이가 편하게 움직일 수 있는 넓은 바닥 공간과 적절한 습도 유지가 중요하다.
테라리움 크기 & 바닥재 선택
- 최소 100cm × 50cm 크기의 테라리움 필요
- 바닥재는 자연 환경과 유사하게 조성해야 하며,
흙이 포함된 코코피트, 모래+흙 혼합, 건초(알팔파, 티모시 헤이) 사용 가능
필수 장비 & 구성 요소
- UVB 조명 & 적외선 히터
- 거북이는 햇볕을 쬐면서 체온을 조절하므로, UVB 조명이 필수적이다.
- 핫존(35℃), 콜드존(28℃)으로 나눠 체온 조절이 가능하도록 환경 설정
- 은신처 & 등반 구조물
- 거북이는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은신처가 필요하며,
코코넛 쉘, 나무 조각, 바위 등으로 숨을 곳을 만들어준다. - 일부 육지 거북(히구레 거북, 설가타 거북)은 등반을 좋아하므로,
낮은 경사의 바위나 나무 장식을 추가하는 것도 좋다.
- 거북이는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은신처가 필요하며,
- 수분 공급을 위한 물그릇 & 습도 조절
- 육지 거북도 물을 마시고 몸을 담글 공간이 필요하므로
넓고 낮은 물그릇을 배치해야 한다. - 습도 조절이 필요한 종(히구레 거북 등)은 테라리움 내 일부 구역을 습하게 유지해야 한다.
- 육지 거북도 물을 마시고 몸을 담글 공간이 필요하므로
4. 거북이 수조 & 테라리움 유지 관리 방법
거북이를 건강하게 키우기 위해서는
사육 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정기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생 거북 관리 방법
- 주 1회 부분 물갈이(전체 수량의 30%)
- 한 달에 한 번 수조 전체 청소(여과기 포함)
- UVB 조명은 6개월~1년에 한 번 교체
육지 거북 관리 방법
- 바닥재는 2~3개월마다 교체
- 은신처 및 구조물은 주기적으로 세척
- 습도 조절이 필요한 종은 분무기로 물을 뿌려 습도 유지
'희귀 반려동물 키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슴도치 키우기: 초보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사항 (0) | 2025.03.17 |
---|---|
친칠라 VS 기니피그: 어떤 반려동물이 나에게 더 적합할까? (0) | 2025.03.16 |
페럿을 키우기 전에 꼭 알아야 할 10가지 사실 (0) | 2025.03.16 |
슈가글라이더 키우기: 성격, 먹이, 건강 관리 (0) | 2025.03.15 |
뱀을 반려동물로 키울 수 있을까? 초보자가 알아야 할 모든 것 (0) | 2025.03.14 |
카멜레온 VS 이구아나: 나에게 맞는 반려 파충류는? (0) | 2025.03.14 |
레오파드 게코(표범 도마뱀붙이) 키우기: 특징, 먹이, 사육 환경 (0) | 2025.03.14 |
육지거북 키우기: 초보자를 위한 A to Z (0) | 2025.03.13 |